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jsp
- mysql
- 잡토이 메이킹 코딩 학원
- Spring Security
- 스크래치
- 설정
- librecad
- 강좌
- Unity
- 예제
- oracle
- jobtoy
- s4a
- 시작하기
- 코딩
- MSSQL
- 오라클
- 운정
- 유니티
- Android
- 안드로이드
- 잡토이
- 파주
- 리브레캐드
- tomcat
- 아두이노
- html5
- 톰캣
- 설치
- 라즈베리파이
- Today
- Total
목록programming (381)
랩제이
1. Windows Script Debugger 1) 도구>옵션>고급>스크립트 디버깅 사용 안 함 -> 체크해제 2) Windows Script Debugger 다운로드 설치 http://www.microsoft.com/downloads/details.aspx?FamilyID=6a326d9c-f47e-4c92-b42a-b3d43029e96f&DisplayLang=ko 2. Companion.JS 1) 다운로드 http://www.my-debugbar.com/wiki/CompanionJS/HomePage 3. FireBug 1) 다운로드 http://www.getfirebug.com/
prototype - Event.observe Event.observe 는 prototype.js 에 정의된 메소드로 윈도우 load시 다양한 이벤트를 등록해 준다. 예) Event.observe("btnNew", "click", objEvent.fnWriteFrmView); 설명) id "btnNew"라는 엘리먼트에서 click이벤트를 발생하면 objEvent라는 이벤트클래스의 fnWriteFrmView 메소드를 호출해라!
javascript - pop() 자바스클립트 네이티브 메세드로 자바스크립트 배열의 마지막 엘리먼트를 삭제하고 동일한 배열에 저장하고 리턴값으로 삭제된 마지막 엘리먼트를 보낸다.
크로스 도메인 (cross domain) 예제 웹위젯이 가능한 형태로 바꾸어 보았다. 너무 단순한가? 다른 건 없다. 웹서버1(html), 웹서버2(servlet, js)가 위치하도록 했다. 그러니까 html 형태가 이렇게 단순해 진다. callbackTest를 클릭하면 JSON으로 가져온 값이 html상에 뿌려지게 된다. callbackTest 이제 JSON으로 가져올 값에 javascript, html layout 등의 정보를 담아서 테스트 해봐야 겠다. html의 layout이 구성되고 그 안에서 link나 action이 일어나면 이 역시 위와 같은 JSON의 방식으로 처리하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제 간단한 웹위젯을 만들어 볼까 ^^
출처> Ajax Hackks 읽고 이해하고 바로 쓴다. HACK#73 예제 HACK#73 예제가 제대로 되지 않아서 내가 똑같이 구현되도록 조금 수정했다. 웹서버1(html), 웹서버2(servlet-JSON생성)를 두고서 테스트해 본 결과 정상적으로 웹서버1의 html이 웹서버2의 데이터를 가지고 온다. 이 테스트를 가지고 웹위젯을 만들어야 하는데 어떻게 적용해야 할까?
기본 준비물 - empireEFI 부팅이미지(empireEFIv1085.iso) - 맥 설치 시디 이미지(h-mosl1063.iso) - XCode 설치 이미지(xcode_3.2.5_and_ios_sdk_4.2_final.dmg) 1. 새로 만들기 선택 2. 가상 머신 이름 및 운영체제 선택합니다. - 이름을 맥으로 하니까 자동으로 선택됩니다. 3. 다음을 누릅니다. 4. 5. 하드디스크 저장소 종류를 선택합니다. 6. 가상 디스크 위치와 크기 - 100G 정도를 잡습니다. 7. 요약 정보 8. 설정 > 시스템 - EFI 사용하기 (지원하는 운영체제만) 옵션을 끈다. 9. 가상 미디어 관리자 선택 10. 시작을 누릅니다. 11. empireEFlv1085.iso 부팅할 이미지를 선택합니다. 12. 처음 ..
1. MAC OS X에서 http://developer.apple.com/ 에 접속한다. 2. Mac Dev Center 클릭 3. apple id 로 로그인 한다. 4. Xcode를 다운로드 받는다. Lopard(10.5)버전 부터는 3.x버전을 다운로드 받는다. (Tiger(10.4)이하 버전은 Xcode 2.x버전 다운로드) 5. 다운로드 속도가 너무 느려 이전에 받아 두었던 파일을 이용합니다. 6. Xcode 설치 1) xcode_3.2.5_and_ios_sdk_4.2_final.dmg 떠블 클릭하여 설치합니다. 2) MAC OS X가 10.6.4로 업그레이드가 되어야 설치가 진행됩니다. 3) 다시 설치하기 4) 처음에 설치하드를 20G로 잡아더니 용량이 너무 모자라네요. 다른 하드 디스크에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