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oracle
- 예제
- 설치
- mysql
- tomcat
- Unity
- s4a
- 잡토이 메이킹 코딩 학원
- 리브레캐드
- 안드로이드
- Android
- 운정
- 톰캣
- 오라클
- 시작하기
- Spring Security
- 잡토이
- html5
- 라즈베리파이
- 스크래치
- 아두이노
- 파주
- librecad
- jobtoy
- 설정
- 유니티
- jsp
- 강좌
- 코딩
- MSSQL
- Today
- Total
목록servlet (4)
랩제이
[JSP] jsp, servlet 흐름에 대해서 보통 웹에서는 유저의 request를 통해서 response를 받게 됩니다. request를 보낼 때 파라메터에 여러 값을 던지고 그걸 웹서버에서는 조합해서 DB에 쿼리를 날리게 됩니다. DB에서 받은 값을 가지고 response를 던져서 유저가 볼 수 있도록 합니다. jsp의 servlet의 경우 유저는 jsp의 url을 직접 호출하는 것이 아니고 web.xml의 servlet mapping에 정의되어 있는 특정 url로 호출하게 됩니다. 그러면 java의 web단에서 doGet, doPost로 받게 됩니다. web단에서는 요청 사항이 등록인지 수정인지 삭제인지를 확인하여 service단으로 내려 보냅니다. service단에서는 쿼리가 필요하면 다시 db..
ServletTest4.war 을 eclipse에서 import 해서 테스트 함 1. BarChart3DDemo.java servlet 파일 생성 - package chart 2. web.xml 설정 - tomcat 4.1.31 기준 ServletTest4 BarChart3DDemo chart.BarChart3DDemo BarChart3DDemo /BarChart3DDemo.st index.html index.htm index.jsp default.html default.htm default.jsp 웹브라우저 접속 url은 의 값으로 설정함 3. 웹브라우저 접속 http://127.0.0.1/ServletTest4/BarChart3DDemo.st
------------------------------------------ servlet Post 테스트 ------------------------------------------ * test.html * PostTest.java package test; import java.io.*; import javax.servlet.*; import javax.servlet.http.*; import java.util.*; import java.text.*; import org.jfree.chart.ChartFactory; import org.jfree.chart.ChartUtilities; import org.jfree.chart.JFreeChart; import org.jfree.data.general.D..
ServletTest4.war 을 eclipse에서 import 해서 테스트 함 1. BarChart3DDemo.java servlet 파일 생성 - package chart 2. web.xml 설정 - tomcat 4.1.31 기준 ServletTest4 BarChart3DDemo chart.BarChart3DDemo BarChart3DDemo /BarChart3DDemo.st index.html index.htm index.jsp default.html default.htm default.jsp 웹브라우저 접속 url은 의 값으로 설정함 3. 웹브라우저 접속 http://127.0.0.1/ServletTest4/BarChart3DDem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