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안드로이드
- mysql
- 설치
- html5
- 강좌
- 오라클
- Android
- Unity
- 리브레캐드
- 라즈베리파이
- 예제
- MSSQL
- jobtoy
- 잡토이 메이킹 코딩 학원
- 코딩
- s4a
- 설정
- 운정
- oracle
- jsp
- 잡토이
- librecad
- 아두이노
- 스크래치
- tomcat
- Spring Security
- 시작하기
- 파주
- 유니티
- 톰캣
- Today
- Total
랩제이
[jsp] 톰캣 다중 도메인 적용하기 본문
[jsp] 톰캣 다중 도메인 적용하기
톰캣으로 웹서비스를 하다 보면 하나의 톰캣에서 도메인을 여러개 사용하여 웹서비스를 해야 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경우에 톰캣에서 host 설정을 하면 쉽게 처리 할 수 있습니다.
<Engine name="Catalina" defaultHost="localhost">
<Realm className="org.apache.catalina.realm.LockOutRealm">
<Realm className="org.apache.catalina.realm.UserDatabaseRealm" resourceName="UserDatabase"/>
</Realm>
<Host name="www.domain1.co.kr" appBase="/webapps1" unpackWARs="true" autoDeploy="true">
<!--
<Valve className="org.apache.catalina.valves.AccessLogValve" directory="logs"
prefix="www.domain1.co.kr_access_log." suffix=".txt"
pattern="%h %l %u %t "%r" %s %b" />
-->
</Host>
<Host name="www.domain2.co.kr" appBase="/webapps2" unpackWARs="true" autoDeploy="true">
<!--
<Valve className="org.apache.catalina.valves.AccessLogValve" directory="logs"
prefix="www.domain1.co.kr_access_log." suffix=".txt"
pattern="%h %l %u %t "%r" %s %b" />
-->
</Host>
</Engine>
이렇게 설정하면 웹어플리케이션을 두개 만들고 각각 webapps1, webapps2에 ROOT.war로 배포하면
도메인별로 서비스를 할 수 있습니다.
이말은 웹어프리케이션명이 보이지 않고 도메인으로만 접속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jsp] 톰캣 다중 도메인 적용하기
'programming > 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 상단 헤더 고정 좌우 스크롤하기 (0) | 2013.09.30 |
---|---|
[jsp] file upload (0) | 2013.06.27 |
[jsp] json-lib 를 이용한 list -> json 으로 뽑기 jdk14 [샘플] (0) | 2013.04.03 |
[jsp] json-lib 를 이용한 list -> json 으로 뽑기 jdk1.4, json-lib-2.3-jdk13 (0) | 2013.04.03 |
[jsp] iis와 톰캣이 동일하게 80, 443포트로 웹 서비스하도록 설정 (0) | 2013.03.18 |